정부·기업, 청년 일자리 창출 함께 해결해야
상태바
정부·기업, 청년 일자리 창출 함께 해결해야
  • 양재삼 본부장
  • 승인 2013.11.12 11: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양재삼.jpg
정부가 시간선택제 일자리 만들기 등 일자리 창출에 힘쓰고 있다.
 
하지만 심각한 문제는 청년 일자리 창출이다. 시간제 일자리는 정부가 고용률 70%를 달성하기 위해 주부나 노령층 등 경력 단절자와 일과 학업을 병행하는 청년층을 위해 도입한다고 했다.
 
그러나 장차 우리사회의 중추적 산업인력 역할을 해야 하는 청년들의 일자리 사정이 딱하기 거지 없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325개 기업을 대상으로 '2013년 대졸 신입사원 채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올해 대학 졸업자의 기업 공채 경쟁률이 평균 28.6대 1이었다. 100명이 취업문을 두드려 3.5명만 합격한 셈이다.
 
특히 대기업 경쟁률은 31.3대 1이었다. 지난해 약 8만명이 지원했던 삼성그룹의 하반기 대졸자 공채에 올해는 10만여명이 몰렸고, KT의 하반기 대졸 공채 경쟁률은 150대 1을 기록했다. 대기업만 그런 게 아니다.
 
올해 국가직 9급 공개경쟁 채용시험에는 14만7천여명이 응시해 53.7대 1이었고, 경기도의 7급 일반행정직 시험은 무려 526.7대 1이었다.
 
대졸자를 포함한 청년들의 취업난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문제는 청년 고용을 늘리려는 대책에도 불구하고 일자리 사정은 더 나빠지고 있다는 점에 있다. 청년층(15~29세) 임금근로자 가운데 첫 취업까지 1년 이상 걸린 사람은 26%, 2년 이상도 15%나 된다.
 
그만큼 취업이 어렵다는 얘기다. 3분기 고용률을 보면 더 심각하다. 20대 고용률은 57.2%로 같은 분기 기준으로는 1998년 이래 가장 낮았다. 다른 연령층에선 2008년 금융위기 직후 떨어졌던 고용률을 만회하고 50대는 1992년 이래 최고치를 찍은 것과 대조적이다.
 
최근 취업자 증가 흐름에서도 20대는 예외다. 실업자 중에 20대 비중은 지난해 3분기 33.7%에서 올해 3분기에는 38.7%로 상승했다. 실업자 10명 중 4명 가량이 20대 청년이라는 얘기다.
 
이런 현실은 성장률 둔화 탓도 있지만 성장해도 예전만큼 일자리가 늘지 않기 때문이다. 제조업에선 과거와 같은 일자리 창출력을 기대하기 어렵다. 또 고학력화로 청년들의 일자리 눈높이가 높아 미스매치가 일어난다. 대기업 선호도는 높아지는 반면 중소기업은 구인난에 허덕이는 구조적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정부가 국외와 공공 부문 일자리를 늘리고 중소기업 취업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를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가시적 성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공공기관이 내년 시간제 일자리 채용을 청년 중심으로 하려 한다는 지적이다. 자칫 갈 곳 없는 청년들이 시간제 일자리에 몰릴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청년 일자리 문제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
 
정부가 내세우고 있는 국외 일자리 창출 등을 보다 적극적으로 펴야 하고, 정부와 기업이 함께 청년 일자리 창출 문제에 머리를 맞대야 할 것 이다.
 
양재삼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